체코슬로바키아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체코슬로바키아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은 1920년에 첫 국제 경기를 치렀으며, 1992년 해체될 때까지 올림픽에서 은메달 4개와 동메달 4개를 획득하는 등 국제적으로 활약했다.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도 여러 차례 우승 및 메달을 획득했고, 캐나다 컵에서도 준우승을 차지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1993년 체코슬로바키아가 분리되면서 체코와 슬로바키아 대표팀으로 나뉘었으며, 주요 선수로는 이르지 홀리크, 바츨라프 네도만스키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 - 캐나다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
캐나다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은 올림픽과 세계 선수권에서 다수의 금메달을 획득한 아이스하키 강국으로, NHL 선수들의 참가 허용 여부에 따라 국제 대회 성적 변화를 겪으며 세계 최정상급의 경쟁력을 유지하고 있다. -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 - 러시아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
러시아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은 소련 시절 국제 무대에 데뷔하여 세계 선수권 대회와 올림픽에서 우수한 성적을 거두었으나, 2022년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국제 아이스하키 연맹에 의해 모든 대회 참가가 중단되었다.
체코슬로바키아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별칭 | 해당 없음 |
협회 | 체코슬로바키아 아이스하키 연맹 |
총감독 | 해당 없음 |
감독 | 해당 없음 |
보조 코치 | 해당 없음 |
주장 | 해당 없음 |
최다 출전 선수 | 이르지 홀리크 (319) |
최고 득점자 | 바츨라프 네도만스키 (163) |
최다 포인트 획득 선수 | 블라디미르 마르티네츠 (233) |
홈 경기장 | 해당 없음 |
IIHF 코드 | TCH |
IIHF 랭킹 | 해당 없음 |
IIHF 최고 랭킹 | 해당 없음 |
IIHF 최고 랭킹 날짜 | 해당 없음 |
IIHF 최저 랭킹 | 해당 없음 |
IIHF 최저 랭킹 날짜 | 해당 없음 |
팀 색상 | 흰색 빨간색 파란색 |
유니폼 | [[파일:Czechoslovakia national hockey team jerseys (1991).png]] |
첫 번째 경기 | |
마지막 경기 | |
최대 승리 | |
최대 패배 | |
세계 선수권 대회 | |
출전 횟수 | 52 |
첫 출전 | 1930년 |
최고 성적 | [[파일:Gold medal with cup.svg|16px]] 금메달 (6회): 1947년, 1949년, 1972년, 1976년, 1977년, 1985년 |
캐나다 컵 | |
출전 횟수 | 5 |
첫 출전 | 1976년 |
최고 성적 | [[파일:Simple silver cup.svg|16px]] 2위 (1976년) |
올림픽 | |
출전 횟수 | 16 |
첫 출전 | 1920년 |
메달 | [[파일:Silver medal.svg|16px]] 은메달 (4회): 1948년, 1968년, 1976년, 1984년 |
2. 역사
체코슬로바키아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은 192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 국제 대회에서 활동했다. 초창기에는 1920년 하계 올림픽 아이스하키 종목에 참가하여 동메달을 획득했고, 1924년 동계 올림픽에도 참가했다.[1] 1930년대에는 1933년과 1938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동메달을 땄다.[1]
1990년대에는 1992년 알베르빌 동계 올림픽과 1992년 세계 아이스하키 선수권 대회에서 동메달을 획득한 후, 1992년 12월 스위스와의 경기를 마지막으로 해체되었다.[1] 이후 체코와 슬로바키아로 분리되면서 체코 대표팀이 대부분의 기록과 위상을 이어받았다.[1]
2. 1. 초창기 (1920년대 ~ 1930년대)
체코슬로바키아는 1920년 4월 24일 안트베르펜에서 열린 1920년 하계 올림픽 아이스하키 종목에서 캐나다에게 0-15로 패하며 첫 국제 경기를 치렀다.[1] 이 대회에서 체코슬로바키아는 동메달을 획득했다.1924년 샤모니에서 열린 1924년 동계 올림픽 아이스하키 종목에서는 캐나다에 0-30으로 크게 패하기도 했다.[1]
1930년대에는 1933년과 1938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동메달을 2회 획득했다.
체코슬로바키아가 가장 큰 점수 차로 승리한 경기는 1939년 2월 3일 바젤에서 유고슬라비아를 상대로 24-0으로 승리한 경기이다.[1]
2. 2. 해체와 유산 (1990년대)
1992년 알베르빌 동계 올림픽에서 동메달,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1992년 12월 19일, 모스크바에서 열린 스위스와의 경기를 마지막으로 해체되었다.[1] 1993년 체코와 슬로바키아로 분리되면서 체코 대표팀이 대부분의 기록과 위상을 승계했다.[1]3. 대회 기록
체코슬로바키아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은 여러 국제 대회에 참가하여 뛰어난 성적을 거두었다.
1920년 안트베르펜 하계 올림픽에서 첫 경기를 치렀으며, 1992년 12월 19일 모스크바에서 스위스와의 경기가 마지막 경기였다.
최다 점수차 승리는 1939년 바젤에서 유고슬라비아 왕국을 상대로 24-0, 1947년 프라하에서 벨기에를 상대로 24-0, 1951년 동베를린에서 동독을 상대로 27-3, 1957년 모스크바에서 일본을 상대로 25-1로 이긴 경기들이다. 반면 최다 점수차 패배는 1924년 샤모니에서 캐나다에게 30-0으로 패배한 경기였다.
1948년 11월 8일에는 영국에서 열리는 친선 경기를 위해 파리에서 런던으로 향하던 선수 6명이 비행기 추락 사고로 사망하는 비극적인 사건이 발생하기도 했다.[1][2][3]
3. 1. 올림픽
체코슬로바키아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은 1920년 안트베르펜 하계 올림픽에서 처음으로 올림픽에 참가하여대회 | 경기 | 승 | 연장 승 | 무 | 연장 패 | 패 | 득점 | 실점 | 코치 | 주장 | 최종 결과 | 순위 | |
---|---|---|---|---|---|---|---|---|---|---|---|---|---|
1920 안트베르펜 | 3 | 1 | 0 | 0 | 0 | 2 | 1 | 31 | ? | 요세프 슈로우베크 | 동메달 라운드 | 3위 | |
1924 샤모니 | 3 | 1 | 0 | 0 | 0 | 2 | 14 | 41 | ? | 요세프 슈로우베크 | 1라운드 | 6위 | |
1928 생모리츠 | 2 | 1 | 0 | 0 | 0 | 1 | 3 | 5 | ? | 요세프 슈로우베크 | 1라운드 | 7위 | |
1932 레이크플래시드 | 불참 | ||||||||||||
1936 가르미슈파르텐키르헨 | 9 | 5 | 0 | 0 | 0 | 4 | 16 | 18 | ? | 요세프 말레체크 | 결선 라운드 | 4위 | |
1948 생모리츠 | 8 | 7 | 0 | 1 | 0 | 0 | 80 | 18 | 마이크 벅나 | 블라디미르 자브로드스키 | 풀 리그 | 2위 | |
1952 오슬로 | 8 | 6 | 0 | 0 | 0 | 2 | 47 | 18 | 이르지 토지치카, 요세프 헤르만 | 카렐 구트 | 풀 리그 | 4위 | |
1956 코르티나담페초 | 7 | 3 | 0 | 0 | 0 | 4 | 32 | 36 | 블라디미르 부제크 | 카렐 구트 | 결선 라운드 | 5위 | |
1960 스쿼밸리 | 7 | 3 | 0 | 0 | 0 | 4 | 44 | 31 | 에두아르트 파르다, 라디슬라프 호르스키 | 카렐 구트 | 메달 라운드 | 4위 | |
1964 인스브루크 | 7 | 5 | 0 | 0 | 0 | 2 | 38 | 19 | 이르지 안톤, 블라디미르 코스트카 | 블라티밀 부브니크 | 결선 라운드 | 3위 | |
1968 그르노블 | 7 | 5 | 0 | 1 | 0 | 1 | 33 | 17 | 야로슬라프 피트너, 블라디미르 코스트카 | 요제프 골론카 | 결선 라운드 | 2위 | |
1972 삿포로 | 5 | 3 | 0 | 0 | 0 | 2 | 26 | 13 | 야로슬라프 피트너, 블라디미르 코스트카 | 요세프 체르니 | 결선 라운드 | 3위 | |
1976 인스브루크 | 5 | 3 | 0 | 0 | 0 | 2 | 17 | 10 | 카렐 구트, 얀 스타르시 | 프란티셰크 포스피실 | 결선 라운드 | 2위 | |
1980 레이크플래시드 | 6 | 4 | 0 | 0 | 0 | 2 | 40 | 17 | 카렐 구트, 루데크 부카치, 스타니슬라프 네베세리 | 보후슬라프 에버만 | 순위 결정전 | 5위 | |
1984 사라예보 | 7 | 6 | 0 | 0 | 0 | 1 | 40 | 9 | 루데크 부카치, 스타니슬라프 네베세리 | 프란티셰크 체르니크 | 결선 라운드 | 2위 | |
1988 캘거리 | 8 | 4 | 0 | 0 | 0 | 4 | 33 | 28 | 얀 스타르시, 프란티셰크 포스피실 | 두샨 파세크 | 결선 라운드 | 6위 | |
1992 알베르빌 | 8 | 6 | 0 | 0 | 0 | 2 | 36 | 21 | 이반 흐린카, 야로슬라프 발터 | 토마시 옐리네크 | 동메달 결정전 | 3위 | |
1993년부터 체코슬로바키아는 분리되어 체코와 슬로바키아로 승계되었다. |
3. 2. 세계 선수권 대회
연도 | 개최국 | 순위 | 비고 |
---|---|---|---|
1930 | 프랑스, 오스트리아, 독일 | 6위 | |
1931 | 폴란드 | 5위 | |
1933 | 체코슬로바키아 | ||
1934 | 이탈리아 왕국 | 5위 | |
1935 | 스위스 | 4위 | |
1937 | 영국 | 6위 | |
1938 | 체코슬로바키아 | 동메달 | |
1939 | 스위스 | 4위 | |
1947 | 체코슬로바키아 | ||
1949 | 스웨덴 | 금메달 | |
1950 | 영국 | 불참 | |
1951 | 프랑스 | 불참 | |
1953 | 스위스 | 기권 | |
1954 | 스웨덴 | 4위 | |
1955 | 서독 | 동메달 | |
1957 | 소련 | 동메달 | |
1958 | 노르웨이 | 4위 | |
1959 | 체코슬로바키아 | 동메달 | |
1961 | 스위스 | ||
1962 | 미국 | 불참 | |
1963 | 스웨덴 | 동메달 | |
1965 | 핀란드 | 은메달 | |
1966 |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 은메달 | |
1967 | 오스트리아 | 4위 | |
1969 | 스웨덴 | 동메달 | |
1970 | 스웨덴 | 동메달 | |
1971 | 스위스 | 은메달 | |
1972 | 체코슬로바키아 | 금메달 | |
1973 | 소련 | 동메달 | |
1974 | 핀란드 | 은메달 | |
1975 | 서독 | 은메달 | |
1976 | 폴란드 | 금메달 | |
1977 | 오스트리아 | 금메달 | |
1978 | 체코슬로바키아 | 은메달 | |
1979 | 소련 | 은메달 | |
1981 | 스웨덴 | 동메달 | |
1982 | 핀란드 | 은메달 | |
1983 | 서독 | 은메달 | |
1985 | 체코슬로바키아 | 금메달 | |
1986 | 소련 | 5위 | |
1987 | 오스트리아 | 동메달 | |
1989 | 스웨덴 | 동메달 | |
1990 | 스위스 | 동메달 | |
1991 | 핀란드 | 6위 | |
1992 | 체코슬로바키아 | 동메달 |
이후 대표팀은 해체되었으며, 체코가 그 기록을 승계했다.
3. 3. 캐나다 컵
연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감독 | 주장 | 최종 순위 |
---|---|---|---|---|---|---|---|---|---|
1976년 | 7 | 3 | 1 | 3 | 23 | 20 | 카렐 구트, 얀 스타르시 | 프란티셰크 포스피실 | 결승 |
1981년 | 6 | 2 | 2 | 2 | 22 | 17 | 루데크 부카치, 스타니슬라프 네베셀리 | 밀란 노비 | 준결승 |
1984년 | 5 | 0 | 1 | 4 | 10 | 21 | 루데크 부카치, 스타니슬라프 네베셀리 | 블라디미르 칼드르 | 풀 리그 5위 |
1987년 | 5 | 2 | 1 | 2 | 12 | 15 | 얀 스타르시, 프란티셰크 포스피실 | 두산 파셰크 | 준결승 4위 |
1991년 | 5 | 1 | 0 | 4 | 11 | 18 | 이반 흘린카, 야로슬라프 발터 | 프란티셰크 무실 | 풀 리그 6위 |
3. 4. 유럽 선수권 대회
경기 | GP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코치 | 주장 | 결과 | 순위 |
---|---|---|---|---|---|---|---|---|---|---|
1910–1914 | 보헤미아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이었음. | |||||||||
1921 스톡홀름 | 1 | 0 | 0 | 1 | 4 | 6 | ? | ? | 결승 | |
1922 생모리츠 | 2 | 2 | 0 | 0 | 11 | 3 | ? | ? | 풀 리그 | |
1923 앤트워프 | 4 | 2 | 0 | 2 | 16 | 9 | ? | ? | 풀 리그 | |
1924 밀라노 | 참가하지 않음. | |||||||||
1925 슈트르프스케 플레소, 스타리 스모코베츠 | 3 | 3 | 0 | 0 | 10 | 0 | ? | ? | 풀 리그 | |
1926 다보스 | 7 | 5 | 0 | 2 | 18 | 8 | ? | ? | 결승 라운드 | |
1927 빈 | 5 | 1 | 1 | 3 | 7 | 6 | ? | ? | 풀 리그 | 5위 |
1929 부다페스트 | 4 | 4 | 0 | 0 | 8 | 3 | ? | ? | 결승 | |
1932 베를린 | 6 | 1 | 1 | 4 | 10 | 10 | ? | ? | 결승 라운드 | 5위 |
4. 선수 기록
'''선수 기록'''
순위 | 성명 | 연도 | 출장 | 골 | 어시스트 | 포인트 |
---|---|---|---|---|---|---|
1 | 이르지 홀리크 | 1964–1977 | 319 | 132 | 58 | 190 |
2 | 올드르지흐 마하치 | 1967–1978 | 293 | 37 | 35 | 72 |
3 | 블라디미르 마르티네츠 | 1970–1981 | 292 | 159 | 74 | 233 |
4 | 프란티셰크 포스피실 | 1967–1977 | 262 | 25 | 45 | 70 |
5 | 이반 흘린카 | 1970–1981 | 259 | 133 | 55 | 188 |
6 | 미로슬라프 드보르자크 | 1974–1983 | 231 | 14 | 32 | 46 |
7 | 이르지 부블라 | 1971–1980 | 230 | 37 | 37 | 74 |
8 | 바츨라프 네도만스키 | 1965–1974 | 220 | 163 | 39 | 202 |
9 | 밀로슬라프 호르자바 | 1981–1992 | 217 | 28 | 27 | 55 |
10 | 밀란 노비 | 1975–1982 | 214 | 122 | 43 | 165 |
순위 | 성명 | 연도 | 출장 | 골 | 어시스트 | 포인트 |
---|---|---|---|---|---|---|
1 | 바츨라프 네도만스키 | 1965–1974 | 220 | 163 | 39 | 202 |
2 | 블라디미르 자브로트스키 | 1947–1956 | 94 | 158 | 7 | 165 |
3 | 블라디미르 마르티네츠 | 1970–1981 | 292 | 159 | 74 | 233 |
4 | 이반 흘린카 | 1970–1981 | 259 | 133 | 55 | 188 |
5 | 이르지 홀리크 | 1964–1977 | 319 | 132 | 58 | 190 |
6 | 블라스티밀 부브니크 | 1952–1964 | 127 | 121 | 33 | 154 |
7 | 밀란 노비 | 1975–1982 | 214 | 122 | 43 | 165 |
8 | 블라디미르 루지치카 | 1983–1989 | 186 | 107 | 34 | 141 |
9 | 이르지 랄라 | 1981–1988 | 201 | 90 | 24 | 114 |
10 | 야로슬라프 이르지크 | 1958–1969 | 134 | 83 | 26 | 109 |
순위 | 성명 | 연도 | 출장 | 골 | 어시스트 | 포인트 |
---|---|---|---|---|---|---|
1 | 블라디미르 마르티네츠 | 1970–1981 | 292 | 159 | 74 | 233 |
2 | 바츨라프 네도만스키 | 1965–1974 | 220 | 163 | 39 | 202 |
3 | 이르지 홀리크 | 1964–1977 | 319 | 132 | 58 | 190 |
4 | 이반 흘린카 | 1970–1981 | 259 | 133 | 55 | 188 |
5 | 블라디미르 자브로트스키 | 1947–1956 | 94 | 158 | 7 | 165 |
밀란 노비 | 1975–1982 | 214 | 122 | 43 | 165 | |
7 | 블라스티밀 부브니크 | 1952–1964 | 127 | 121 | 33 | 154 |
8 | 블라디미르 루지치카 | 1983–1989 | 186 | 107 | 34 | 141 |
9 | 요제프 골론카 | 1958–1969 | 134 | 82 | 35 | 117 |
10 | 요세프 말레체크 | 1924–1939 | 107 | 114 | 0 | 114 |
이르지 랄라 | 1981–1988 | 201 | 90 | 24 | 114 |
주요 선수 명단은 '주요 선수'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4. 1. 주요 선수
선수명 | 포지션 | 설명 |
---|---|---|
블라디미르 주릴라 | 골텐더 | |
요제프 골론카 | 센터 | |
도미니크 하셰크 | 골텐더 | 1990년대와 2000년대에 걸쳐 활약한 세계적인 골텐더이다. |
이반 흘린카 | 센터 | |
얀 흐르디나 | 센터 | |
빈센트 루카치 | 레프트윙 | |
블라디미르 마르티네츠 | 라이트윙 | |
바츨라프 네도만스키 | 센터 | |
밀란 노비 | 센터 | |
프란티셰크 포스피실 | 디펜스맨 | |
야로슬라프 포우자르 | 센터 | |
다리우스 루스나크 | 센터 | |
블라디미르 루지치카 | 센터 | |
얀 수히 | 디펜스맨 |
5. 국가대표팀 유니폼
6. 기타
1948년 11월 8일, 영국에서 열리는 친선 경기를 위해 파리에서 런던으로 향하던 전세기에 탑승한 체코슬로바키아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 선수 6명이 비행기 추락 사고로 사망했다.[1][2][3]
6. 1. 관련 사건
1948년 11월 8일, 영국에서 열리는 친선 경기를 위해 파리에서 런던으로 향하던 전세기에 탑승한 체코슬로바키아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 선수 6명이 비행기 추락 사고로 사망했다.[1][2][3]참조
[1]
웹사이트
Trosky letadla s československými hokejisty nenašli. Zabil je sebevědomý pilot – iDNES.cz
http://technet.idnes[...]
Technet.idnes.cz
2013-07-07
[2]
웹사이트
Před 60 léty zahynulo šest hokejistů z ČSR :: Letectví.cz :: Letecký informační server
http://www.letectvi.[...]
Letectvi.cz
2013-07-07
[3]
웹사이트
Šedesát let od největší tragédie našeho hokeje: proč a jak zemřela šestice reprezentantů?
http://www.hokej.cz/[...]
Hokej.cz
2013-07-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